산행/산행2019년

[2019년 3월 5일] 장막산(통영)

김태년 2019. 3. 6. 09:46



지도상의 매봉산 정상




큰산






 

1. 산 행 지 : 장막산/봉화산

2. 산행일자 : 2019.  3.  5.

3. 산행코스 : 유촌 ~ 봉화산 ~ 봉화대(왕복) ~ 매봉산 ~ 매봉산2(정상석) ~ 괘방치 ~ 산불초소(왕복) ~

                 탄막산(장막산) ~ 큰산 ~ 진주핵시술장

4. 산행거리 : 10.76km

5. 산행시간 : 2시간 49분

6. 산행참고 :

7. 교통참고 : 산악회(청주화요)버스

8. 산행트랙 : 장막산ORUX화요__20190305_1053.gpx

9. 사진 및 기타





유촌, 봉화산들머리에서 하차


제범 가파르게 올라간다.


장막산을 가도록 왼쪽 수렵구, 오른쪽 금렵구라는 표지판을 만난다.


읍도, 도선리가 왼쪽으로 보인다.






봉화산 정상, 오른쪽으로 (옛)봉화대를 다녀오기로 한다.



참호의 흔적같다. 어느 선답자는 여기를 봉화대로 착각했는지 여기서 발길을 돌렸다.


여기로 올라서서 봉화대의 흔적을 살펴본다.

안내판에 따르면, 통영 우산(牛山) 봉수로

세종 7년(1425년)을 전후한 시기에 축조, 고종32년(1895년) 봉수제의 철폐시 까지 운용

축조초기에은 고성 좌이산의 봉수를 받아 북쪽의 고성 천왕점 봉수로 연결하였으나

조선 중기이후에는 남쪽 통영의 미륵산의 봉수를 받아, 고성 천황점봉수로 연결하였다 한다.

봉화산을 지나 만난 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


전망대에서 내려오는 길이 짧지만 제법 험하다.




지도상 매봉산이지만 조망이 없어 (작은) 매봉산에 정상석을 설치하였다.


바로 아래서 올려단 본 (작은, 제2) 매봉산 모습

조망때문에 여기에 정상석을 설치하고  어떤 이는 작은 매봉산이라 부른 모양이다.


차도로 내려선다.



차도를 계속 따라 내려간다.


잠시 숲길을 살펴보다 계속 차도를 따라 내려가 등산안내도를 만나 산길로 접어든다.



산불감시8초소에 근무하시는 김성문씨는

비탈에 작은 축대를 쌓고 '돌복숭'동산길, 백련초등을 가꾸고 있다.

돌복숭(=개복숭아?)


백련초








좌측 관망포인트로 향한다.





복숭동산조성에 힘쓰는 김성문씨,

그분의 설명에 따르면 이곳에 우리나라의 모습을 닮은 소나무를 가꾸고 계신다.






네이버, 다음지도 등에 따르면 이곳은 탄막산이고 장막산의 근처에 있다.







오른쪽으로 수월리마을


왼쪽으로 법송리 마을


돌탑을 왼쪽으로 두고 오른쪽으로 비탈을 내려선다.

괘방치에서 산행을 한 회원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회원들의 열렬한 환영을 뒤로하고 큰산으로 오른다.





잠포마을








바다고기양식장옆 공터(오른쪽 대각선쪽으로 진주핵시술장이 보인다.)


장막산ORUX화요__20190305_1053.gpx
0.06MB